AbstractObjectives:Varieties of mixed breathing patterns such as mixed or central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ay observed during polysomnography. Our object is to compare the general feature and sleep apnea characteristics between OSA with and without mixed breathing pattern.
Methods:Total 24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OSA [apnea-hypopnea index (AHI) ≥5 /h]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Mixed breathing pattern was defined as mixed apnea index plus central apnea index (MCAI) with ≥5 /h (Mix-OSA). OSA without mixed breathing pattern (Non-mix-OSA) was defined with MCAI with <5 /h. Central sleep apnea syndrome was excluded. We investigated differences of the distribution and shifting of apnea index across sleep stage, position and sleep time between Mix-OSA and Non-mix-OSA group.
Results:The prevalence of Mix-OSA was 42 of 244 OSA patients (17.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except higher AHI in Mix-OSA group. Mix-OSA showed a significant increment of MCAI and hypopnea index during non rapid eye movement sleep while Non-mix-OSA showed increased obstructive apnea index (OAI) in rapid eye movement sleep period. In both groups, supine body position was related to high OAI.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leep apnea according to the timing of sleep in both groups.
서 론폐쇄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잠자는 동안에 기도가 간헐적으로 막혀서 수면이 분절되고 불포화반응(desaturation)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1 이 질환의 유병률은 수면심장건강 연구(Sleep Heart Health study)와 같은 대규모 인구집단 연구(population studies)에서 18%까지 보고되고 있고, 임상증상을 동반한 OSA는 남자에서 4%, 여자에게서 2%로 알려져 있다.2 심한 무호흡을 가진 환자가 치료받지 않으면, 8년에 걸쳐 사망률이 46% 정도 올라가고, 이러한 사망률 증가의 주 원인은 심혈관계 질환이다.3 OSA 환자에게서 폐쇄무호흡(obstructive apnea), 중추무호흡(central apnea), 그리고 합무호흡(mixed apnea) 등 다양한 종류의 수면무호흡이 관찰된다. 혼합무호흡은 무호흡 동안 첫 부분에서는 호흡노력(respiratory effort)이 없다가 나중에 호흡노력이 나타나는 형태의 무호흡을 말한다. 즉, 중추무호흡으로 시작해서 폐쇄무호흡으로 끝나는 특징을 가진 것이 혼합무호흡이며, 이는 1999년 미국수면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의 기준에 따라 폐쇄무호흡으로 간주된다.4 OSA의 병리기전에 중요한 요소는 해부학적 특징이지만, 신경근 조절체계(neuromuscular control system) 또한 상기도 폐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7 상기도 및 가로막(diaphragm)과 호흡량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추무호흡 혹은 폐쇄무호흡이 결정된다.8
Obstructive sleep apnea 환자는 두 가지 무호흡을 모두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중추 혹은 폐쇄무호흡의 상대적인 비율은 유전적 요인이나 내과적 상태에 따른 개인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수면무호흡 환자에게서 혼합무호흡이나 폐쇄무호흡이 보이면 그 환자는 미국수면학회가 정한 현재의 판독기준에 따라 OSA로 진단하여야 한다.4 지금까지 혼합수면무호흡증후군(mixed sleep apnea syndrome)이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문의 목적은 혼합무호흡이나 중추무호흡이 OSA와 함께 나타나는, 혼합호흡형태(mixed breathing pattern)를 보이는 OSA(OSA with mixed breathing pattern, Mix-OSA)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수면 중 혼합호흡형태가 없이 주로 OSA가 나타나는 OSA(OSA without mixed breathing pattern, Non-mix-OSA) 환자와 비교하여 수면무호흡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 법대상 환자2006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수면관련호흡질환(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으로 내원한 환자들 가운데 수면다원검사상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5 /h 이상으로 OSA로 진단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AHI는 시간당 무호흡이나 저호흡 사건발생 횟수로 정의하였으며, OSA 진단은 국제수면질환 분류기준 2판(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second edition)에 따랐다. 중추무호흡지수(central apnea index, CAI)가 5 /h 이상이면서, 전체 무호흡 발생의 50%가 넘는 경우는 중추수면무호흡(central sleep apnea)으로 판단하고 대상에서 배제하였다.
총 244명의 환자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48.9세(±11.83)이고 성비는 남자 207명(84.8%), 여자 37명(15.2%)이었다. OSA 환자는 혼합호흡형태가 있는 Mix-OSA 환자군과 혼합호흡형태가 없으면서 폐쇄무호흡이 주로 나타나는 Non-mix-OSA 환자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수면무호흡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혼합호흡형태는 혼합무호흡과 중추무호흡을 합해서 그 지수(mixed-and-central apnea index, MCAI)가 5 /h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MCAI가 5 /h 이상이면 Mix-OSA 환자군, MCAI가 5 /h 미만이면 Nonmix-OSA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수면다원검사수면다원검사는 표준뇌파(C3-A2, C4-A1, F3-A2, F4-A1, O1-A2, O2-A1), 안전도(ROC-A1, LOC-A2), 근전도(electromyography), 심전도(수정된 V2 유도), 산소포화도(pulse oximetry), 그리고 코골이 측정을 위한 목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시행되었으며, 정해진 표준에 따라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임상수면기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근전도는 턱밑근(submental muscle)과 양측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muscle)에서 기록하였다. 호흡량 측정을 위해서는 입코열전대(oronasal thermistor)와 코압력변환기(nasal pressure transducer)를, 호흡노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흉곽과 복부에 교류저항 체적 변동기록법(plethysmography)을 사용하였다. 수면단계 및 그와 연관된 사건은 미국수면학회의 규정집(2007)에 근거해서 판독하였다.
무호흡지수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로 폐쇄무호흡지수(obstructive apnea index, OAI), MCAI, 저호흡지수(hypopnea index, HI) 등 총 3가지 무호흡지수를 구하였다. OAI는 호흡노력이 있는 상태에서 시간당 무호흡의 횟수를 구한 값으로, 무호흡은 호흡량 진폭이 90% 이상 감소를 나타내면서 10초 이상 완전히 호흡이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저호흡지수는 시간당 저호흡이 나타나는 빈도수로, 호흡량 진폭이 30% 이상 감소를 10초 이상 각성과 함께 동반되어 보이거나 산소포화도가 4%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MCAI는 혼합무호흡지수(mixed apnea index)와 CAI를 합한 값이다. 혼합무호흡지수는 시간당 혼합무호흡 즉, 처음에는 중추무호흡이 보이다가 나중에 폐쇄무호흡으로 끝나는 형태의 무호흡을 보인 수이며, CAI는 시간당 중추무호흡의 사건이 나타난 갯수로 정의하였다.
수면 중 무호흡 특징의 분석Mix-OSA 환자군과 Non-mix-OSA 환자군에서 수면 중 자세 변화, 수면의 단계, 수면의 시기 등 총 3가지 특징에 따라 혼합호흡형태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먼저 자세는 앙와위(supine)와 비앙와위(non-supine)로 구분하였으며, 수면의 단계는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수면의 시기는 총 수면시간을 절반으로 나누어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Mix-OSA 환자군과 Non-mix-OSA 환자군 간에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ESS, PSQI를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수면다원검사상 무호흡의 특성 및 차이는 paired t-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프로그램(SPSS 21.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유의 수준은 p값이 0.05 미만일 경우로 판단하였다.
결 과Mix-OSA 환자의 유병률 및 특징수면다원검사에서 Mix-OSA의 진단 기준을 만족시킨 환자는 총 244명 중 42명(17.2%)이었고, 1명을 제외하고 모두 남자(97.6%)였다(Table 1). 단순비교분석 결과, Mix-OSA 환자군에서 Non-mix-OSA 환자군에 비해, 나이가 더 적었고 (47.1 vs. 49.2, p<0.001), AHI가 더 높았으며, 주간 졸림은 더심하였고(ESS 11.8 vs. 9.9, p=0.029), 체질량지수는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061). PSQI에서는 양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다중비교분석 결과, Mix-OSA 환자군에서 Non-mix-OSA 환자군에 비해 AHI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Table 2), 남자가 많은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3). 양군 간에 나이, 체질량지수, 주간 졸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는 Nonmix-OSA 환자군(r=0.339, p<0.001)과 Mix-OSA 환자군(r=0.380, p=0.013)에서 AHI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Mix-OSA 환자군에서의 MCAI와는 연관성이 없었다(p=0.506). ESS는 Non-mix-OSA 환자군과 Mix-OSA 환자군에서 AHI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p>0.05), Mix-OSA 환자군에서의 MCAI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r=0.367, p<0.05). Mix-OSA 환자군에서 MCAI는 AHI와 유의한 양성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358, p<0.05), OAI와는 음성적 연관성이 관찰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r=-0.288, p=0.064).
수면 전후반기에 따른 혼합호흡형태의 차이폐쇄무호흡지수는 Non-mix-OSA 환자군에서 수면 전후반기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364), Mix-OSA 환자군에서는 수면 전반기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6). Mix-OSA 환자군에서 MCAI는 수면 후반기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4). 저호흡지수는 Non-mix-OSA 환자군(p=0.001) 및 Mix-OSA 환자군(p<0.001)에서 모두 수면 전반기에 높게 나타났다(Table 4).
고 찰우리는 혼합호흡형태의 유무에 따라 OSA 환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수면무호흡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군 간에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Mix-OSA군에서 AHI가 Non-mix-OSA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ESS는 두 군 모두에서 AHI와 관련이 없었으나, Mix-OSA 환자군에서는 MCAI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의 특성을 수면단계에 따라 보면, Non-mix-OSA는 OAI가 렘수면에서 높았으나, Mix-OSA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사라지면서 MCAI와 HI 수치가 비렘수면에서 높았다. 자세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면, Non-mix-OSA군에서 HI가 앙와위에서 높았으나, Mix-OSA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시간대별 분석을 보면, Mix-OSA에서 전반부는 폐쇄수면무호흡, 후반부는 중추수면무호흡의 형태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Non-mix-OSA에서는 MCAI 수치가 낮아서인지 이러한 분포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무호흡과 중추무호흡을 합해서 사건발생 빈도가 시간당 5 이상과 미만인 경우로 혼합호흡형태의 유무를 분류하였다. Yamauchi 등은 OSA 환자군을 혼합무호흡이 있는 환자와 혼합무호흡 없이 폐쇄무호흡만 있는 환자로 나누어서 각성 동안 호흡 양상을 조사하였는데,11 혼합무호흡 환자군에서 호흡 형태(breath-to-breath analysis)와 표본 엔트로피(sample entropy)가 순수 중추수면무호흡 환자에서와 유사했고, 순수 OSA 환자에서 보다 좀더 다양하다는 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점을 함께 고려해서 그들은 혼합무호흡이 폐쇄무호흡보다 중추무호흡에 더 가깝다고 분석했다. 또한 혼합무호흡과 중추무호흡 모두 그 발생기전에서 호흡센터(respiratory center)의 불안정성(unstability)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혼합호흡형태의 기준으로 이 두 무호흡을 합쳐서 시간당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Non-mix-OSA 환자군에서는 렘수면 때 비렘수면에 비해 OAI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렘수면 때 근긴장도 감소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Mix-OSA군에서는 렘수면 때 OAI가 비렘수면에 비해 높기는 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Mix-OSA군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통계적 힘(statistical power)에 의한 오류인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반면, Mix-OSA 환자군에서는 비렘수면 때 MCAI와 저호흡지수가 렘수면에 비해 더 높았다. 이는 렘수면 때 호흡안정성이 증가한다는 사실로 설명이 가능하다.12 수면시 자세는 수면장애호흡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앙와위 자세로 잠을 자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심해진다.13 이처럼 자세에 따라 수면무호흡이 영향을 특히 많이 받는 환자에게서는 자세 변화만으로도 폐쇄무호흡의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14 최근에는 체간의 자세뿐만 아니라 머리의 위치에 따라서도 폐쇄무호흡의 양상이 달라진다는 보고도 있어 자세에 따른 수면 양상의 변화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15 우리 연구에 포함된 환자의 경우에서는 Mix-OSA 환자군에서 저호흡지수를 제외하고 Non-mix-OSA 환자군에서는 OAI, 혼합-중추무호흡지수, 저호흡지수, 그리고 Mix-OSA 환자군에서는 OAI와 혼합-중추무호흡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앙와위 자세에서 높았다. 이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자세에 대한 영향에는 양군 간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호흡의 경우, Non-mix-OSA군에서 앙와위 때 의미 있게 그 지수가 높은 반면에 Mix-OSA군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없어지는 것은 Mix-OSA군에서의 저호흡은 상당 부분이 중추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해주며, 이는 수면단계의 HI 변화에서 추론하여 해석할 수 있다.
수면 전반기에 폐쇄무호흡 양상을 보이다가 이산화탄소분압이 떨어지면서 후반기에 중추무호흡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16 우리 연구에서는 두 군 모두에서 수면 전반부의 폐쇄무호흡 우세, 후반부의 중추무호흡 우세의 뚜렷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Mix-OS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이와 같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현재 미국수면학회의 기준에 따르면 혼합무호흡을 폐쇄무호흡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독자적으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 이는 혼합무호흡이 나타나는 기전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는데, 혼합무호흡에서 중추무호흡이 나타나는 것은 선행하는 폐쇄무호흡으로 인하여 저산소증이 유발되고 이산화탄소분압이 상승하게 되면, 화학 수용체가 자극을 받아 일시적인 각성을 동반한 과호흡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과호흡은 다시 이산화탄소분압을 낮추게 되어 무호흡 역치 아래로 농도가 떨어지면서 중추무호흡이 관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17 또 다른 기전으로 폐쇄무호흡으로 인한 저산소증 자체가 호흡 중추에 억제를 일으키고 그로 인하여 호흡에 관련된 근육의 마비로 무호흡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18 실제로 저용량의 산소를 환자에게 수면 중에 제공하여도 중추무호흡과 혼합무호흡이 감소하며 더 나아가 OSA로 이행할 수도 있다는 보고도 있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19 이런 기전에 따르면, 혼합무호흡은 폐쇄무호흡과 연장 선상의 수면장애호흡으로 선행하는 폐쇄무호흡이 치료된다면 혼합무호흡도 같이 호전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환자에게 지속기도양압 치료를 시행할 경우 모두 증상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단순 OSA 환자에서 복합수면무호흡이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동일선상의 질환으로 생각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은 혼합호흡형태의 정의가 인위적이라는 점이다. 특히 혼합무호흡과 중추무호흡을 같은 맥락으로 판단하고 이들 지수를 함께 합하여 혼합호흡형태를 정의하는 것이 타당한지는 현재로서 결론지을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더 논의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호흡형태 유무의 분리점(cutoff point)을 시간당 5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타당하지 않다면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지도 아직까지 정설이 없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와 같은 불확실성은 아직 OSA 환자에게서 혼합호흡형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이 진행되어 혼합호흡형태에 대한 이론적-임상적 의의를 좀더 명확히 해야 될 것이다.
Table 1.Table 2.
Table 3.REFERENCES1. Y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2. Young T, Shahar E, Nieto FJ, et al. Predictor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ommunity-dwelling adults: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2002;162:893-900.
3. Punjabi NM, Caffo BS, Goodwin JL, et al.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mortality: a prospective cohort study. PLoS Med 2009;6:e1000132.
4.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The Report of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 1999;22:667-689.
5. Ayappa I, Rapoport DM. The upper airway in sleep: physiology of the pharynx. Sleep Med Rev 2003;7:9-33.
6. Patil SP, Schneider H, Marx JJ, Gladmon E, Schwartz AR, Smith PL. Neuromechanical control of upper airway patency during sleep. J Appl Physiol (1985) 2007;102:547-556.
7. Younes M. Contributions of upper airway mechanics and control mechanisms to severity of obstructive apne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8:645-658.
9.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10.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11. Yamauchi M, Tamaki S, Yoshikawa M, et al. Differences in breathing patterning during wakefulness in patients with mixed apnea-dominant vs obstructive-dominant sleep apnea. Chest 2011;140:54-61.
12. Thomas RJ, Terzano MG, Parrino L, Weiss JW. Obstructive sleep-disordered breathing with a dominant cyclic alternating pattern--a recognizable polysomnographic variant with practical clinical implications. Sleep 2004;27:229-234.
14. Ravesloot MJ, van Maanen, Dun L, de Vries. The undervalued potential of positional therapy in position-dependent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a review of the literature. Sleep Breath 2013;17:39-49.
15. van Kesteren, van Maanen, Hilgevoord AA, Laman DM, de Vries. Quantitative effects of trunk and head position on the apnea hypopnea index in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2011;34:1075-1081.
16. Tkacova R, Niroumand M, Lorenzi-Filho G, Bradley TD. Overnight shift from obstructive to central apnea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role of PCO2 and circulatory delay. Circulation 2001;103:238-243.
17. Iber C, Davies SF, Chapman RC, Mahowald MM. A possible mechanism for mixed apnea in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 1986;89:800-805.
|
|